2025. 2. 25. 15:59ㆍ카테고리 없음
퇴직금을 받을 때 세금 고민, 어떻게 해야 할까?
퇴직금을 받을 때 가장 고민되는 부분이 바로 세금입니다.
특히 퇴직금이 클수록 세금 부담도 커지는데요.
IRP(개인형 퇴직연금) 계좌를 활용하면 세금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퇴직소득세 계산법과 퇴직금을 일시금으로 받을 때 vs IRP 계좌로 이전할 때의 차이점을 비교해보겠습니다.
1. 퇴직금 세금 계산법 (퇴직소득세 계산)
퇴직금에는 퇴직소득세가 부과되며, 이는 일반 근로소득세보다 낮은 세율이 적용됩니다.
퇴직소득세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.
💡 퇴직소득세 공식
- 퇴직소득금액 = (퇴직금 - 퇴직소득공제)
- 과세표준 = 퇴직소득금액 ÷ 근속연수
- 세율 적용 후 퇴직소득세 계산 (누진세율 적용)
📍 실제 예시: 퇴직금 1억 원, 근속연수 10년
- 퇴직소득공제: 4,000만 원 (10년 근속 기준)
- 퇴직소득금액: 1억 - 4,000만 원 = 6,000만 원
- 과세표준: 6,000만 원 ÷ 10년 = 600만 원
- 적용 세율: 600만 원 × 6% = 36만 원
- 최종 퇴직소득세: 36만 원 × 10년 = 576만 원
즉, 퇴직금 1억 원을 받을 경우 576만 원의 세금이 부과됩니다.
2. 퇴직금 받는 방법: 일시금 vs IRP 계좌 비교
퇴직금을 받을 때 그냥 통장으로 받을지, IRP 계좌로 받을지 고민하는 분들이 많습니다.
어떤 방식이 유리할까요?
선택 기준 | 일시금 수령 | IRP 계좌 활용 |
세금 부담 | 즉시 퇴직소득세 납부 (576만 원) | 연금 수령 시 세율 감면 (최대 70%) |
자금 활용성 | 즉시 사용 가능 | 연금 개시 전 인출 불가 |
투자 가능성 | 본인이 직접 운용 | IRP 계좌 내 금융상품 선택 가능 |
연금 수령 가능성 | 없음 | 만 55세 이후 연금 수령 가능 |
✅ IRP 계좌 활용 시 절세 효과
IRP 계좌에 퇴직금을 넣고 연금으로 받으면 퇴직소득세가 절감됩니다.
- 5년 이상 연금 수령 시 퇴직소득세 70% 감면
- 10년 이상 연금 수령 시 더욱 절세 가능
- 연금 소득세율이 적용되어 부담 완화
즉, 퇴직금을 한 번에 사용하지 않는다면 IRP 계좌로 이전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.
어떤 방법이 나에게 유리할까?
✔ 퇴직 후 큰돈이 필요 없다면?
👉 IRP 계좌로 이전 후 연금으로 수령 (세금 절약 효과 극대화!)
✔ 퇴직 후 집을 사거나 사업을 시작할 계획이라면?
👉 일시금으로 받고 본인이 직접 투자 (세금 부담 있음)
✔ 일부는 필요하지만 세금 부담을 줄이고 싶다면?
👉 일부는 일시금으로 받고, 나머지는 IRP 계좌로 이전
💡 📢 퇴직금 세금을 줄이는 팁!
1️⃣ 퇴직소득세 예상 금액을 미리 계산하고 전략적으로 수령 방법 결정
2️⃣ IRP 계좌 활용 시 세금 감면 효과를 최대한 활용
3️⃣ 연금 수령이 가능하면 최대한 길게 가져가는 것이 세금 절약에 유리
퇴직금을 받을 예정이라면 세금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꼭 고려해보세요! 😊