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. 1. 31. 04:42ㆍ카테고리 없음
고려 왕조 개요
고려(高麗, 918~1392)는 918년 태조 왕건이 후삼국을 통일하며 건국한 국가로, 1392년 조선 건국까지 총 34명의 왕이 즉위했습니다. 고려 왕조는 불교와 유교를 중심으로 한 정치·문화 발전을 이루었으며, 거란, 몽골 등 외세와의 전쟁을 겪으면서도 474년간 유지된 강력한 왕조였습니다.
📌 고려 왕조 특징:
✔ 태조 왕건이 후삼국을 통일하며 건국
✔ 왕권 강화와 문벌 귀족, 무신정권, 원 간섭기 등 다양한 정치 변화
✔ 대몽 항쟁을 거쳐 원나라의 간섭을 받았지만 끝내 독립 유지
✔ 공민왕의 개혁 이후 쇠퇴, 결국 조선에 의해 멸망
고려 왕 순서 1대~34대 (연도별 정리)
다음은 고려 왕 순서를 1대 태조부터 34대 공양왕까지 정리한 표입니다.
📌 고려 왕 순서 & 재위 기간
왕대왕명재위 기간주요 업적
1대 | 태조 왕건 | 918~943 | 고려 건국, 후삼국 통일 |
2대 | 혜종 | 943~945 | 왕건의 아들, 즉위 후 왕권 불안정 |
3대 | 정종 | 945~949 | 왕권 강화를 위해 친위부대 조직 |
4대 | 광종 | 949~975 | 노비안검법 실시, 과거제 도입, 왕권 강화 |
5대 | 경종 | 975~981 | 전시과 제도 시행 |
6대 | 성종 | 981~997 | 유교 정치 확립, 중앙집권 강화 |
7대 | 목종 | 997~1009 | 강조의 정변으로 폐위됨 |
8대 | 현종 | 1009~1031 | 거란의 침입 방어, 나성 축조 |
9대 | 덕종 | 1031~1034 | 왕권 강화 정책 |
10대 | 정종(제2) | 1034~1046 | 거란과 친선 유지 |
11대 | 문종 | 1046~1083 | 고려 전성기, 경정 전시과 확립 |
12대 | 선종 | 1083~1094 | 문벌 귀족 사회 완성 |
13대 | 헌종 | 1094~1095 | 재위 1년 만에 폐위됨 |
14대 | 숙종 | 1095~1105 | 별무반 창설, 화폐 사용 장려 |
15대 | 예종 | 1105~1122 | 관학 진흥책 시행 |
16대 | 인종 | 1122~1146 | 묘청의 난, 김부식의 삼국사기 편찬 |
17대 | 의종 | 1146~1170 | 무신정변으로 폐위됨 |
18대 | 명종 | 1170~1197 | 무신정권 성립, 만적의 난 |
19대 | 신종 | 1197~1204 | 최충헌의 집권 시작 |
20대 | 희종 | 1204~1211 | 최충헌이 폐위 |
21대 | 강종 | 1211~1213 | 명종의 아들, 최충헌의 꼭두각시 왕 |
22대 | 고종 | 1213~1259 | 몽골 침략, 강화도 천도 |
23대 | 원종 | 1259~1274 | 원나라 간섭 시작 |
24대 | 충렬왕 | 1274~1308 | 원 간섭기 시작, 몽골 공주와 결혼 |
25대 | 충선왕 | 1308~1313 | 개혁 시도, 조맹부의 서화 도입 |
26대 | 충숙왕 | 1313 |
원나라의 영향력 확대 |
27대 | 충혜왕 | 1330 |
원나라와 갈등 |
28대 | 충목왕 | 1344~1348 | 개혁 시도, 단명 |
29대 | 충정왕 | 1348~1351 | 원 간섭기 마지막 왕 |
30대 | 공민왕 | 1351~1374 | 원나라 간섭에서 벗어나려 개혁 시도 |
31대 | 우왕 | 1374~1388 | 위화도 회군으로 폐위됨 |
32대 | 창왕 | 1388~1389 | 공양왕에게 양위 |
33대 | 공양왕 | 1389~1392 | 고려 마지막 왕, 이성계에 의해 폐위됨 |
✔ 태조 왕건이 후삼국을 통일하며 고려를 건국
✔ 광종의 개혁(노비안검법, 과거제)으로 왕권 강화
✔ 문종~숙종 시기 고려 전성기, 유교 기반 정비
✔ 무신정권(11701270)과 원 간섭기(12701351)로 왕권 약화
✔ 공민왕의 개혁 시도, 그러나 결국 조선에 의해 멸망
고려 왕조의 역사적 의의
고려 왕조는 474년 동안 존속하면서 한반도 최초로 불교를 국가 이념으로 삼고 중앙집권 체제를 강화했습니다.
📌 고려 왕조의 주요 특징
✔ 불교 중심 국가 → 화려한 불교 문화 발전 (팔만대장경, 불국사)
✔ 문벌 귀족 사회 → 유교적 관료제와 과거제 확립
✔ 무신정권 & 원 간섭기 → 왕권 약화, 외세 침략
✔ 공민왕 개혁 → 원나라 영향력 축소, 하지만 실패
💡 고려의 역사는 한국사의 중요한 전환점으로, 후삼국 통일부터 조선 건국까지 다양한 정치·사회 변화를 보여줍니다.
고려왕조 요약
✔ 태조 왕건부터 공양왕까지 34명의 왕이 고려를 통치
✔ 광종·문종 시기 왕권 강하고, 무신정권·원 간섭기로 약화됨
✔ 공민왕 개혁 시도했으나 실패, 결국 조선으로 왕조 교체